• 비전(Vision)
"차세대 융합의료영상기술 및 방사선융합기술을 주도할 창의적 능력과 글로벌 리더십을 갖춘 인재양성"
• 교육목표(Education Objectives)
핵심 교육목표
- 국제협력 및 산학 클러스터 구축을 통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사선학 심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세대 융합의료영상기술 및 방사선융합공학을 주도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함.
세부 교육목표
- 첨단융합의료영상 전문가 양성: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의 선점을 위해 핵의학영상, 자기공명영상, 엑스선영상, 컴퓨터 단층촬영 등의 의료 영상기술에 대한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강의 및 연구가 수행되고 있음.
- 방사선융합공학 전문인력 양성: 본 학과는 지역특화 의료기기업체와의 산학협력 및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원자력안전기술원, 원자력연구원 등과 협력연구를 통해 방사선공학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창의적 글로벌 인재양성: 본 학과는 2010년부터 매년 연세-나고야 공동 심포지움을 통해 학술/연구교류를 진행하고 있으며 중국 Taisan Medical University의 학생들에 대한 위탁교육을 수행한 바 있음. University of Florida, University of Washington, Unversity of Sydney,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University of Bordeaux 등과 MOU를 기반으로 학술 교류를 수행하는 등, 국제적 감강과 전문지식을 갖춘 글로벌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학년별목표(Level Objectives)
1학년 |
(기초) 의학용어, 인체해부학, 일반생물학 등 방사선 등 방사선 분야의 입문적 지식 습득 |
2학년 |
(핵심) 방사선학개론, 방사선물리학, 방사선응용수학, 방사선생물학, 디지털영상처리, 방사선응용프로그램 등 개괄적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방사선학 분야의 이해능력 함양 |
3학년 |
(심화) CT영상학및실험, MR영상학및실험, 방사선계측및실험, 핵의학영상학및실험, 방사선치료학및실험, 등 다양한 방사선학 분야의 전문지식 습득 및 응용능력 함양 |
4학년 |
(활용) 현장실습, 캡스톤디자인 등 현장실물의 환경을 직접적으로 체험하여 지식과 안목, 태도 함양 |
졸업후 진로(Courses After Graduation)
방사선학과의 진로는 주로 학부졸업과 대학원졸업에 따라 크게 나뉨. 연세대학교 방사선학과 학부졸업생의 44% 정도는 의료기관의 방사선사로 근무를 하고 있으며, 21%는 대학원 진학을 하고, 의료기기업체, 공공기관, 일반기업체 등에 35%가량 취업하고 있음.
학부졸업 후 융합의료영상분야로는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삼성병원, 아산병원 의료기관의 방사선사로서의 취업이 주를 이루고 있음. 고용노동부의 2017 한국직업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방사선사는 2015년 약 25.5천 명에서 2025년 약 32.0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6.5천명(연평균 2.3%)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대학원 졸업생들은 Johns Hopkins University, University of Maryland, MD Anderson Hospital,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MSKCC) 등의 박사 후 연구원을 을지대학교, 건양대학교, 동서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등에 교원으로 진출하고 있음.
방사선융합공학
학부를 졸업하고 방사선공학 분야로의 진출은 삼성전자 의료기기사업부, 지멘스, 필립스 등의 의료기기 회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한국수력원자력(주) 등의 에너지공학 분야로의 진출이 늘어나고 있음. 방사선학과에서는 대학원 교육을 보다 심화하기 위해서, 2015년 방사선공학과 의학물리 트랙으로 구성된 방사선융합공학과로 대학원의 명칭을 바꾸고 공학박사를 배출하고 있음. 현재까지 (2022년 1월) 배출된 모든 방사학위 및 석사학위자는 100% 취업률을 보이고 있으며, 표준과학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의 국립연구원과 삼성전자 의료기기, GE 헬스케어, 필리스 등의 기업체, 뿐만 아니라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과 같은 해외 기관에도 진출하고 있음.
>> 연관직업
방사선사, 의학물리학자, 대학교수, 의료기기업체, 공기업, 국공립연구소 등
>> 관련자격증
방사선사 면허,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자 일반면허 및 감독자면허, 방사선투과검사, 전문방사선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