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5
- [맞춤형 NBIT 융복합 의료기기 교육연구단] 2025-1학기 대학원생 연구주제 세미나(8회)
- 1. 행사명: BK21 Four - 대학원생 연구주제 정기 세미나 (8) 2. 행사 일시: 2025.06.13.(금) 13:00 ~15:00 (12:50분에 접속 요망) 3. 행사 진행 : Zoom 활용 온라인 개최 참가 https://yonsei.zoom.us/j/7684642403 4. 발표자 및 발표 순서: 1) 현창환 2) 고재훈 3) Doljinsuren 4) Semere
- 4단계 BK21 대학원혁신지원사업 2025.06.13
-
34
- [맞춤형 NBIT 융복합 의료기기 교육연구단] 해외석학초빙강연
- 1. 일정: 2025. 6. 9.(월) 13:30~15:00 2. 강연 장소: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컨버전스홀 320호 3. 초청 강연자 및 강연 주제 1) 강연자: Elsie Effah Kaufmann 2) 강연주제: Biomedical Engineering in Ghana - Academia, Industry and the Innovation Landscape
- 4단계 BK21 대학원혁신지원사업 2025.05.28
-
33
- [맞춤형 NBIT 융복합 의료기기 교육연구단] 국내전문가 초청강연
- 1. 일정: 2025. 6. 4.(수) 16:00~19:00 2. 강연 장소: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컨버전스홀 B114호 3. 초청 강연자 및 강연 주제 1) 강연자: Ph.d. 이원령(한국과학기술연원) - 강연 주제: Flexible Biomedical Devices - Implantable Conformable Wireless ISF Sensing Devices 2) 강연자: Ph.d. 임호섭(한국기계연구원) - 강연주제: Multi-Scale Bioengineering Approaches: MAP(Microphysiological Analysis Platform)-on-a-Chip and 3D Bioprinting for Translational Research
- 4단계 BK21 대학원혁신지원사업 2025.05.28
-
32
- [맞춤형 NBIT 융복합 의료기기 교육연구단] 2025-1학기 대학원생 연구주제 세미나(7회)
- 1. 행사명: BK21 Four - 대학원생 연구주제 정기 세미나 2. 행사 일시: 2025.05.30.(금) 13:00 ~15:00 (12:50분에 접속 요망) 3. 행사 진행 : Zoom 활용 온라인 개최 참가 https://yonsei.zoom.us/j/7684642403 4. 발표자 및 발표 순서: 1)최준원 2)김진권 3)최여은
- 4단계 BK21 대학원혁신지원사업 2025.05.28
-
31
- [근대학국어문학 미래인재교육연구팀] 전문가 특강(김민기와 피트 시거(Pete Seeger) 그리고 횡단하는 저항)
- 주제: 김민기와 피트 시거(Pete Seeger) 그리고 횡단하는 저항 특강자: 박애경,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일시: 2025년 6월 4일 수 오후 5시 30분 ~ 7시 장소: 줌 회의실 https://yonsei.zoom.us/j/3352802518 회의 ID: 335 280 2518 / 암호: 935797
- 4단계 BK21 대학원혁신지원사업 2025.05.28
-
30
- [근대한국어문학 미래인재교육연구팀] 2025-1학기 프론티어 세미나 안내
- 근대한국어문학 미래인재교윤연구팀에서 아래와 같이 프론티어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강사: 반재영 (한국교통대 국문과 강사, 고려대 국문과 박사) 주제: 냉전의 인간학과 그 교육적 기원: 성장할 수 없던 시대의 성장서사와 그 정치성을 묻다. 시간, 장소: 4월 4일 금요일 15시~17시, 컨버전스홀 B102 강사: 홍현영(성균관대 국문과 박사) 주제: 식민지 조선의 문학장이 형성되는 과정: 노자영의 문화 기획과 문예 대중 시간, 장소: 4월 29일 화요일 오전 10시~12시, 온라인 Zoom (https://yonsei.zoom.us/j/3352802518) 회의 ID : 335 280 2518 (암호 935797)
- 4단계 BK21 대학원혁신지원사업 2025.04.09
-
29
- [언론보도] 초미세먼지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 미쳐(차승규 교수, 이진희 교수)
- 초미세먼지가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은 물론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이진희 교수(정신건강의학교실), 차승규 교수(생리학교실, 글로벌의생명학과) 연구팀이 최근 초미세먼지가 우울증을 유발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를 국제 SCIE 학술지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초미세먼지(PM2.5) 노출이 뇌의 특정 부위(시상하부)에 산화 스트레스와 소포체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우울증과 유사한 행동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규명했다. 연구진은 실험동물(쥐)에 4주간 초미세먼지를 흡입시킨 후, 우울증과 연관된 행동 변화를 평가했다.행동실험 결과 무기력함과 동기 부족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우울증을 진단하는 대표적인 행동지표이다. 또한, 뇌 조직 분석결과 시상하부에서 산화스트레스 및 소포체 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도파민 생합성의 핵심 효소인 티로신 수산화효소(tyrosine hydroxylase)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도파민 신경회로 기능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도파민은 행복과 동기부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이 감소가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동 연구팀이 같은 해 발표한 연구의 연장선에서 진행되었다. 이전 연구에서는 초미세먼지 노출이 신경세포 내 활성산소와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을 초래하여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한다는 기전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더 나아가 초미세먼지가 뇌의 특정 부위인 시상하부에서 도파민 신경회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신경퇴행성 변화뿐만 아니라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진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초미세먼지가 신경세포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전 연구에 이어, 뇌의 특정 부위인 시상하부에서 도파민 신경회로에 영향을 미쳐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대기오염 노출을 최소화하고, 실내 공기 질의 적극적 관리와 미세먼지 노출 시 마스크 착용 등 보호조치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의 연구성과는 연세대학교 글로벌의생명학과 BK21 교육연구단과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특히, 기초의학과 임상의학 연구진이 협력하여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폭넓은 관점에서 신경정신질환의 원인을 탐구할 수 있었다.연구팀은 향후 미세먼지와 정신질환 간의 연관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대기오염이 유발하는 신경 및 정신질환 예방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 출처 : 의학신문(http://www.bosa.co.kr/)
- 4단계 BK21 대학원혁신지원사업 2025.03.13
-
28
- [근대한국어문학 미래인재교육연구팀] 2025-1학기 BK사업 설명회 및 대학원 간담회 안내
- 1. 행사명: 2025-1학기 BK사업 설명회(간담회) 2. 행사 일시: 2025.03.12.(수) 16:00 ~ 3. 행사 장소: 청송관 577호 많은 참석 부탁드립니다.
- 4단계 BK21 대학원혁신지원사업 2025.03.07
-
27
- [미래 의과학 선도 글로벌 인재 양성 교육연구단] 2025-1 Work In Progress Meeting Schedule
- 4단계 BK21 대학원혁신지원사업 2025.03.05
-
26
- [언론보도] 대학원 키워 세계적 연구중심대학 만들자(이내응 성균관대 대학원장)
- 최근 대학원장 직책을 부여받고 대학원 운영에 대한 여러 자료들을 살펴보면서 국내 대학들이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 발전하고자 참으로 치열하게 계획하고 노력해 왔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국내 대학들이 세계 대학들 사이에서 이 정도나마 경쟁력을 갖추게 된 원동력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가장 확실하게 눈에 들어오는 하나는 단연코 정부의 강력한 대학원 지원과 육성 의지다. 연구중심대학은 국가 경쟁력 강화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그 중심에 있는 대학원은 우수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기술패권 시대에 필요한 프런티어 연구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야 하며, 국제적인 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기관으로 거듭나야 한다. 주요 국가들도 세계 일류 대학 육성에 한창이다. 중국은 2015년부터 '쌍일류' 프로젝트를 통해 세계 일류 대학과 학과를 육성하고 있다. 독일은 2019년부터 '우수 대학 육성 전략(Exzellenzstrategie)'을 통해 매년 우수 대학(집단)에 약 700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프랑스 PSL대학교(파리과학인문대학교)는 명문 그랑제콜이 연합해 설립된 대학으로, 다수의 노벨상·필즈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이는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을 만들기 위해 정부의 재정 지원과 전략적 육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는 사례들이다. 1999년 시작된 BK21사업은 지난 25년 동안 우리나라 석박사 인재 양성과 대학원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왔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석박사 학생들을 대상으로 매월 파격적인 장학금을 지급하는 BK21사업은 대학들이 경쟁력을 갖추고 발전할 수 있는 마중물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당시로는 낯설었던 '연구중심대학'이라는 용어도 이때부터 많이 알려졌다. 한 단계당 7년씩 3단계까지 그동안 투입된 예산만 5조 원이다. 2020년 시작된 4단계 사업의 총예산은 무려 3조2000억원이다. 국가의 미래는 우수 전문 인력 양성에 달려 있고 대학은 연구중심대학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명제는 지금도 유효하다. 4단계 BK21사업의 가장 큰 차별점은 대학원 교육과 연구를 내실화하기 위해 '대학원혁신지원사업'을 신설한 점이다. 우리 대학은 대학원혁신지원사업을 통해 학생 개인이나 개별 학과만 수혜를 받던 시스템에서 벗어나 체계적으로 대학 차원의 교육·연구·제도의 개선을 이뤄내고 있다. 대학 전체의 제도 혁신 선도, BK21 교육연구단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세계적인 연구허브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강력한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게 됐으며, 총장을 포함한 대학원 중심의 거버넌스를 강화해 과제의 실행력을 높이고 있다. 이 모든 것이 대학원혁신지원사업이라는 정부의 파격적인 지원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일들이다. 25년 전 시작한 BK21사업이 오늘날 결실을 거두었듯 대학원혁신지원사업은 앞으로도 계속 인재 양성의 디딤돌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 10년 후 우리나라 대학들이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 거듭나 전 세계 최우수 인재들이 모인 곳, 연구력 상승이 대학원 교육으로 선순환되는 곳,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이 생성되고 창업이 이루어지는 곳이 되길 기대한다. 출처 : 매일경제(https://www.mk.co.kr/)
- 4단계 BK21 대학원혁신지원사업 2025.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