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구팀 추진 전략
-
- 연구
-
본 교육연구팀은 기존 국어국문학과와는 달리 근대 시기 한국어문학에 집중함으로써, 이 분야 세계 최고의 연구 중심 대학원으로 성장하고자 한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에 이르는 한국의 근대는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계의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근원적 시공간이다. 정치, 사회, 언어, 제도, 문화 등 현대 사회를 구성하는 제반 여건들이 대부분 이 시기에 새롭게 형성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진지한 학문적 탐구는 미래 사회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열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근대 시기에는 아직 정리되지 않은 수많은 자료가 산적해 있으며, 더 깊이있는 학문적 진전이 필요한 연구과제가 무수히 남아 있다. 본 교육연구팀은 향후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과 협력하여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자료들을 지속적으로 발굴, 정리하여 학계에 보고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자료에 기반을 둔 실증적 연구 학풍을 계승, 발전시켜 나아갈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교육연구팀은 동아시아적 시야를 갖춘 근대 한국어문학 연구를 통해 연구의 국제적 확산을 시도하고자 한다. 특히, 근대 시기 한국어문학의 형성과정은 인접한 중국, 일본과의 밀접한 영향 관계 안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토대로 근대 한국어문학 연구의 시야를 확장하고, 중국 및 일본과의 학술 교류를 통해 근대 한국어문학 연구의 성과를 국제적으로 확산시키고자 한다.
-
- 교육
-
본 교육연구팀은 '근대 한국어문학' 분야에 특화된 창의적, 융합적, 국제적 역량을 갖춘 미래인재 양성에 힘쓰고자 한다. 본 교육연구팀은 '근대 한국어문학'에 전문화된 대학원 교육을 위해 고전문학, 현대문학, 국어학으로 구분되는 전통적인 국어국문학과의 전공 시스템을 과감하게 혁신하여 미디어, 텍스트, 언어 중심의 새로운 교과과정 시스템을 수립하였다. 한편, 석사 학위를 마치고 산업 현장의 전문가로 활약할 인재 양성을 고려하여, 한층 유연한 학사제도를 운영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교육연구팀이 양성하고자 하는 인재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 중심의 실증적 연구 학품을 계승한 근대 한국어문학 분야 학술 연구자. 둘째, 전문적 학술 역량을 갖춘 창의적인 문화기획자 및 문화콘텐츠 개발자. 본 교육연구팀은 효과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학술연구자 트랙(박사)과 문화기획자 및 문화콘텐츠 개발자 트랙(석사)를 구분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
- 전략
-
□ 전문화(Specialization) : 근대 한국어문학 분야 학술 역량의 강화
▪ 고도화된 MTL 교과과정 시스템 운영
▪ MTL 교과과정 시스템에 따른 랩실 운영
▪ 창의/융합 교과목 개설 및 운영
▪ 1:1 학생 밀착 지도 시스템
▪ 논문 작성을 위한 멘토링 세미나 운영
▪ 프론티어 세미나
□ 실용화(Practicability) : 근대 한국어문학 자료의 실제 구축 및 분석, 활용 역량 강화
▪ 학위논문 대체 실적 인정을 통한 실무형 유연학위제 도입
▪ 자료 기반 (실무)프로젝트 교과목 운영
▪ 문화콘텐츠 제작 전문가 워크숍 운영
▪ 지역 사회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
▪ 동문 선후배 교류 및 네트워크 구축
□ 국제화(Globalization) : 근대 한국어문학의 국제적 확산을 위한 글로벌 역량 강화
▪ 근대 한국어문학 자료 및 콘텐츠 번역 확산
▪ 해외 동문 교수 멘토링 시스템 구축
▪ 해외 대학 교환학생 제도 활성화
▪ 유학생 연구자 교류 모임 개최
▪ 국제학술대회 및 단기해외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