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3
- [논문] Making Cross-Border Tourism Work Better for the Poor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A Case Study of Vietnam
- 저자 : 김판석(교수) 출간연도 : 2013 제목 : Making Cross-Border Tourism Work Better for the Poor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A Case Study of Vietnam 학술지명(상세정보) : 동남아연구, 23(2): 185-215 초록 : Tourism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income sources and the largest export category without much investment, creating much needed employment and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Tourism is a particularly important economic sector for South East Asia. As such, the tourism sector could play the role of catalyst to the development of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so that the countries i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should seriously consider tourism as one of the flagship programs for further development. In general, making tourism work better is meant to make tourism more pro-poor; a concept that is good to consider, but it is reasonably new for the Vietnamese people. The core idea of this approach is to provide opportunities down the road for the poor and this is justifiably sound. The Vietnamese tourism market can work better for the poor, if it is geared toward being pro-poor, and if it provides direct economic gain, or employment for the poor;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hich are the ones that create jobs, incomes for the poor, and other livelihood benefits such as improved drinking water, communications, access to markets, improved health and education services, protection of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To make tourism work better for the Vietnamese poor implies the opportunities and capacity for involvement in decision-making that allows the poor to improve their livelihoods through access to tourists and tourism enterprises. Key Words: tourism, pro-poor policy, ASEAN, Vietnam, Greater Mekong Sub-region
- 관리자 2017.05.02
-
32
- [논문] Enhancing Public Service Ethics in Bangladesh: Dilemmas and Deterrents
- 저자 : 김판석(교수) 출간연도 : 2013 제목 : Enhancing Public Service Ethics in Bangladesh: Dilemmas and Deterrents 학술지명(상세정보) : 남아시아연구, 19(2): 95-130 초록 : There may be many factors that diminish or destroy trust in governmental institutions. However, none may destroy trust easier or faster than unethical behavior or blatant corruption by public officials. Bangladesh is rated as one of the most corrupt countries in the world by different organization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obstacles to building trust in Bangladesh is the pervasive nature of corruption at many levels. A glance at the newspapers or a glimpse of the newson the television shows that corruption issues continue to figure on the public agenda on a regular basis. Almost all the organs of the government are in the death grip of corruption and now seem to be approaching a stage where it might be impossible to be saved from total collapse. Many people feel helpless to address the problem of corruption and are gradually losing faith on the government. There are a number of the push factors (political pressure, corruption of the superiors, flawed recruitment process, insufficient allocation, poor remuneration, personnel systems, probe bodies, politicization, and education of the children) and the pull factors (culture of impunity, personal greed, mutual corruption pressure, systematic corruption, and complicated and cumbersome preassure in government offices) which are working as the key catalysts to the proliferation of corruption in Bangladesh. Many of the anti-corruption measures in Bangladesh do not get success, as the only initiatives taken to address the problem are through legal instruments. Key Words: ethics, public service, corruption, Bangladesh
- 관리자 2017.05.02
-
31
- [논문]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21세기 한국사회와 사회복지의 역할
- 저자 : 백인립(교수) 출간연도 : 2013 제목 :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21세기 한국사회와 사회복지의 역할 학술지명(상세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6: 297-332 초록 : 본 논문의 목적은 정치경제학적 분석에 기초하여 사회복지 관련 용어들에 대해 새롭게 정의를 내리고, 21세기 현재 한국 시민들이 지닌 복지욕구에 기초하여 사회복지가 포괄하는 영역을 재정립해보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먼저 사회복지 관련 용어들, 예를 들어 사회사업, 사회서비스, 사회정책 등의 용어들이 미국, 일본, 영국, 독일, 스웨덴, 한국 등 총 6개국에서 역사적으로 어떤 용법으로 쓰였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이 과정 이후 철저히 정치경제학에 기초하여 복지, 사회복지, 복지국가,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제도, 사회복지법 등 사회복지 관련 용어들에 대해 새롭게 정의를 내려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재정의 작업 이후 오늘날 한국 시민이 직면한 복지문제에 기반하여 사회복지의 영역을 5가지로 새롭게 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끝으로 사회복지학의 출발점이 인본주의였음을 밝히면서, 이러한 전통을 정치경제학에 기초한 사회복지에 대한 정의와 결합시키는 작업을 통해 21세기 한국사회에 적합한 사회복지학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였다. 주제어: 복지, 사회복지, 복지국가, 정치경제학, 복지욕구, 인본주의, 정체성
- 관리자 2017.05.02
-
30
- [논문] Major Constraints and possible solutions for performance management in Korea
- 저자 : 김판석(교수) 출간연도 : 2013 제목 : Major Constraints and Possible Solutions for Performance Management in Korea 학술지명(상세정보) : Public Management Review, 15(8): 1137-1153 초록 : South Korea (hereafter Korea) has had a later start than advanced Western countries in the use of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s. However, over the past 15 years or so, Korea has had experience in using variou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in many different areas. This study first explains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management and the level of its application in the Korean public sector. After that,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constraining factors (the competitive environment, incentives and discipline, management governance, value orientation, and the time frame of the performance process) on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and seeks ways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based on the diverse experience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in the Korean public sector. Key words: performance management, constraints, South Korea, incentive, discipline, competition
- 관리자 2017.05.02
-
29
- [논문]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의 형성과정 연구
- 저자 : 한상일(교수) 출간연도 : 2013 제목 :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의 형성과정 연구 학술지명(상세정보) : 창조와 혁신, 6(2): 57-79 초록 :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의 배경과 형성과정을 서술하는 것이다. 사회적 기업은 일반회사처럼 영업이익을 창출할 것을 목표로 하지만 그 이익은 사회적 목적을 위해 재투자 하는 조직이다.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업 지원 사업은 1997년 외환위기가 도래한 이후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근로사업과 사회적 일자리 시범사업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 사업의 정책 목표는 경제위기로 실직한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면서 사회서비스 시장의 활성화를 동시에 추구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 참여했던 주요 당사자들과의 인터뷰와 각종 문헌자료의 검색을 통해 사회적 기업정책의 형성과정을 설명하였다. 정책의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기술하면서 참여자들 사이의 상호작용과 각종 쟁점에 주목하였다. 노동부, 보건복지부, 국회, 시민단체 등이 주요 참여자로 고려되었고, 이들이 사회적 기업에 대해서 갖고 있는 인식의 차이 그리고 그러한 인식의 차이가 만들어 낸 다양한 협상의 과정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 사례를 소개한 후 여러 가지 이론적, 현실적 의미를 발굴하였다. 이 사례의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제도주의적 접근, 정책과정적 접근의 가능성을 설명하였고, 사회적 기업 개념의 근원적인 질문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향후 발전을 위한 정책적 대안도 설명하였다. 주제어: 사회적 기업, 사회적 일자리, 사회 서비스, 자활 공동체, 정책형성과정
- 관리자 2017.05.02
-
28
- [저서] 통계학 헤드스타트
- 저자 : 배득종(교수) 출간연도 : 2013 제목 : 통계학 헤드스타트 소개: 금번 개정판은 초판에서 다루지 못했던 ‘표준화와 t-분포’, ‘가설검정과 t-검정’, ‘요인분석’부분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였고, ‘STATA를 활용한 사회과학통계’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였다. 초판이 통계학적 추론방식의 기본원리 “깨닮음”을 제공해주었다면 이번 개정판은 그 다음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디딤돌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개정판은 실제 통계분석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변수의 모수값 추정으로부터 변수 간 인과관계를 추론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동안 PASW SPSS 프로그램은 초판 집필당시와 많은 변화를 거듭하여 version 21.0까지 발전하였다는 점도 개정의 한 이유이다. 또한 독자들에게 프로그램을 더욱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내용의 폭넓은 이해를 위해 ‘말풍선(Step)’을 활용하여 보완하였고, 장별로 예제를 추가하여 이해도와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 관리자 2017.05.02
-
27
- [논문]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Units and the Urgency for Public Infrastructure Provision
- 저자 : Saiful Islam(박사) 출간연도 : 2014 제목 :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Units and the Urgency for Public Infrastructure Provision : Korea's Experience 학술지명(상세정보) : Public policy and social governance 3(2): 183-189 초록 : The public infrastructure provision is not provided solely by the public sector, it also involves the private sector. A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a private-sector company and a government agency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public infrastructure is typically referred to as a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In the global arena, the private sector’s contribution to a PPP program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lthough the PPP concept is still developing and has some issues that still must be addressed. Major issues of a PPP consist of, but are not limited to, the capacity of both parties,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financial-administrative implementation.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PP units to be designed in order to address government failures. In addition, the PPP program must be supervised. The PPP Unit in Korea, referred to as the Public and Private Infrastructure Investment Management Center (PIMAC), has led to improvement of the PPP program and contributed to national economic growth.
- 관리자 2017.05.02
-
26
- [논문] 한국 공공부문의 다양화와 새로운 책임성 개념의 모색
- 저자 : 한상일(교수) 출간연도 : 2013 제목 : 한국 공공부문의 다양화와 새로운 책임성 개념의 모색 학술지명(상세정보) : 한국조직학회보, 10(2): 123-151 초록 : 공공부문의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책임성이 공공조직 연구의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었다. 공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준정부기관과 비영리조직이 증가하면서 한국 행정학계에서는 대리인 이론의 관점이나 재정적 성과의 시각에서 책임성연구가 진행되었고 책임성의 다양한 유형에 따른 실증분석도 증가하고 있다. 개별연구자의 차원에서 책임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책임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비교분석하고 통합하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행정학이 중시하는 공공성의 관점에서 책임성 개념을 재검토하면서 새로운 연구를 위한 방향제시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에서 공공부문이 다양화되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논의를 시작하였다. 한국 정부가 산업화를 추진하던 시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공공기관의 다양화 양식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공공기관의 다양화 양식에 부합하는 책임성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행정학계에서 책임성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책임성 개념을 고전적 책임성과 공공기관의 영역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 책임성 연구로 구분하여 검토하였고 책임성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상세히 제안하면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주제어: 공공부문, 책임성, 공공기관, 공기업,
- 관리자 2017.05.02
-
25
- [논문] 한국 사회적 기업의 지역자산 활용
- 저자 : 한상일(교수) 출간연도 : 2013 제목 : 한국 사회적 기업의 지역자산 활용 : 자산기반지역공동체발전 관점에서의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 모색 학술지명(상세정보) : 지방행정연구, 27(3): 153-180 초록 : 최근 행정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면서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경제가 주목받고 있다. 사회적 기업은 국가와 시장 등 전통적 문제해결주체로는 극복하지 못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사회적 기업의 발전과 성과향상에 중요한 요소가 지역자산의 활용이다. 지역에 속한 인력, 기관, 장소 등의 다양한 자산의 활용을 극대화하여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접근이 자산기반지역공동체개발 관점이며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업의 지역자산의 활용도와 재정상태, 사회적 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사회적 기업과 지역자산활용의 중요성, 그리고 자산기반지역공동체개발 이론 등을 소개 하였다. 실증적 분석에서는 자산기반지역공동체 발전 관점에서 강조하는 지역자산의 활용정도와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한국에서 자산기반지역공동체 발전 관점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할 필요성과 지역자산 활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주제어: 사회적 기업, 자산중심지역공동체발전, 지역공동체발전, 성과
- 관리자 2017.05.02
-
24
- [논문] 춘천시 공무원의 유연근무제에 대한 인식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 저자 : 한상일(교수) 출간연도 : 2013 제목 : 춘천시 공무원의 유연근무제에 대한 인식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학술지명(상세정보) : 지역발전연구 22(2): 71-93 초록 :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의 배경과 형성과정을 서술하는 것이다. 사회적 기업은 일반회사처럼 영업이익을 창출할 것을 목표로 하지만 그 이익은 사회적 목적을 위해 재투자 하는 조직이다.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업 지원 사업은 1997년 외환위기가 도래한 이후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근로사업과 사회적 일자리 시범사업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 사업의 정책 목표는 경제위기로 실직한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면서 사회서비스 시장의 활성화를 동시에 추구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 참여했던 주요 당사자들과의 인터뷰와 각종 문헌자료의 검색을 통해 사회적 기업정책의 형성과정을 설명하였다. 정책의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기술하면서 참여자들 사이의 상호작용과 각종 쟁점에 주목하였다. 노동부, 보건복지부, 국회, 시민단체 등이 주요 참여자로 고려되었고, 이들이 사회적 기업에 대해서 갖고 있는 인식의 차이 그리고 그러한 인식의 차이가 만들어 낸 다양한 협상의 과정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 사례를 소개한 후 여러 가지 이론적, 현실적 의미를 발굴하였다. 이 사례의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제도주의적 접근, 정책과정적 접근의 가능성을 설명하였고, 사회적 기업 개념의 근원적인 질문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향후 발전을 위한 정책적 대안도 설명하였다. 주제어: 유연근무제, 춘천시청, 가정 친화적 문화
- 관리자 2017.05.02